본문 바로가기
건강관련

[기억이 사라지는 병, 단순한 노화가 아닙니다] 알츠하이머병 – 뇌가 보내는 신호를 읽는 법

by 무_비스토리 2025. 5. 28.
반응형

알츠하이머병이란 무엇인가요?

알츠하이머병은 가장 흔한 형태의 치매로,
기억력 저하를 시작으로 언어 능력, 판단력, 일상생활 수행 능력까지 점차 저하되는 진행성 뇌질환입니다.

뇌 안에서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과 타우 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면서
신경세포가 점점 손상되고, 뇌의 크기까지 줄어드는 퇴행성 변화가 특징입니다.

의학적으로는 Alzheimer’s Disease 라고 하며, 전체 치매의 약 60~70%를 차지합니다.

 

 

진료과는 어디인가요?

  • 신경과 / 정신건강의학과
    → 치매의 원인 감별, 인지기능 검사, 약물 치료
  • 노인병내과
    → 고령 환자 대상의 전반적 건강관리
  • 재활의학과 / 작업치료 / 언어치료
    → 인지재활, 일상훈련, 가족 교육 병행

 

어떤 증상이 나타나나요?

초기 증상

  • 최근 일 기억을 못함 (예: 방금 한 말을 잊음)
  • 같은 말을 반복함
  • 물건을 자주 잃어버림
  • 약속을 자주 깜빡함

중기 증상

  • 시간, 장소, 사람 인식이 흐려짐
  • 낯익은 길에서도 길을 잃음
  • 의심, 피해망상, 감정 변화 심함
  • 언어 표현이 줄어들고, 단어 선택이 어려움

말기 증상

  • 의사소통 불가
  • 대소변 조절 어려움
  • 걷기 어려워지고 침대에 누워 지냄
  • 음식 삼키는 기능 약화 → 흡인성 폐렴 위험

 

원인은 무엇인가요?

  • 노화: 가장 큰 위험 요인
  • 유전적 요인: 가족력(특히 조기 발병형), ApoE4 유전자
  • 생활습관: 고혈압, 당뇨, 비만, 흡연, 저운동
  • 머리 외상 / 우울증 / 사회적 고립 등도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

 

어떻게 진단하나요?

  1. 문진 및 인지기능 검사 (MMSE, MoCA 등)
  2. 신경심리검사: 기억력, 언어능력, 시공간 인지력 등 종합평가
  3. MRI / CT: 뇌 위축 여부 확인
  4. PET / 아밀로이드 검사 / 척수액 검사: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 축적 확인
  5. 혈액 기반 바이오마커 검사 (최근 개발 중)

 

치료는 어떻게 하나요?

완치는 어렵지만, 증상 진행을 늦추는 치료가 가능합니다.

  • 약물 치료
    • 아세틸콜린분해효소 억제제 (도네페질 등)
    • NMDA 수용체 길항제 (메만틴)
    • 최근 FDA 승인 신약: 레카네맙(Leqembi) 등 베타아밀로이드 타깃 항체 치료제
  • 비약물적 치료
    • 인지 훈련, 미술·음악 치료, 일상생활 훈련
    • 사회적 자극, 규칙적 수면, 운동도 매우 중요

 

일상생활에서 어떻게 관리하나요?

  • 하루 일정과 물건 위치를 고정해 혼란을 줄이기
  • 대화 시 짧고 간단한 문장 사용
  • 혼자 외출을 제한하고, 실내 안전환경 확보
  • 운동, 걷기, 수면, 사회활동 유지
  • 가족과 보호자는 번아웃 예방 위해 주기적 쉼 필요

 

사회적 지원은 어떤 것이 있나요?

  • 치매안심센터(보건소): 인지검사, 치료 연계, 가족 상담
  • 장기요양보험(등급 판정 후 방문요양 등 가능)
  • 치매환자 등록 시 의료비 일부 지원
  • 인지지원등급/특별등급 대상자에 대한 서비스 확대
  • 노인복지관·주야간보호센터 연계 가능

 

정리하자면

알츠하이머병은 단순한 노화가 아니라 신경세포의 점진적 손실로 생기는 질병입니다.
초기에 발견하고 치료를 시작하면 진행을 늦추고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.
가족과 주변의 지속적인 관심과 사랑, 사회적 지지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.

반응형

댓글